안녕하세요.
김동현 변호사입니다.
최근 서울고등법원은 유명 배우나 가수 등 연예인의 이름을 따서 ○○ 모자, ○○○ 가방으로 광고한 행위와 관련하여 이는 해당 연예인의 성명권을 침해하지 않고, 한편 퍼블리시티권은 독립적인 권리로 인정할 필요가 없다는 취지의 판시를 하였습니다(※ 2015. 1. 30. 선고 2014나200619 판결<확정>).
본 사건은 대형포털사이트가 유명 연예인 이름을 따서 ○○○ 모자, ○○○ 가방 등으로 키워드 광고를 하도록 하고 해당 업체들로부터 광고비를 받는 사업을 하자 배우 등 연예인 55명이 해당 포털사이트를 상대로 하여 "키워드 광고 사업으로 연예인들의 성명권 및 퍼블리시티권 침해를 공모 및 방조하였다"고 하면서 총 11억8,000만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이었습니다.
본 사건에서 서울고등법원 민사13부는 ① 연예인은 자기의 성명이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기를 희망하거나 추구하는 측면이 있어 검색어로 자주 사용된다고 하여 해당 연예인들의 사회적 평가와 명성 등이 저하된다고 볼 수 없다는 점, ② 연예인들이 드라마나 일상생활에 착용한 옷, 신발 등에 그들의 성명을 사용했다고 하여 키워드 광고를 구매한 광고주들이 성명권을 침해했다고 볼 수 없다는 점, ③ 검색서비스는 사회적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어 무료로 제공돼야할 필요가 있는데, 이들의 수익원을 봉쇄한다면 사회적 공공재로서의 검색서비스가 약화될 위험성이 있는 점, ④ 한편 성명권만으로도 퍼블리시티권이 보호하고자 하는 유명인의 성명에 관한 권리의 보호가 가능하므로 퍼블리시티권을 독립적인 권리로 인정할 필요가 없는 점 등을 근거로 하여 해당 키워드 광고가 해당 연예인들의 성명권 및 퍼블리시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는바,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'민사소송 실전 가이드 > 손해배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교통사고 피해자! 2016년 이후부터는 소제기 여부와 상관없이 판결액에 준하는 위자료 수령이 가능해진다(표준약관 개정, 금감원 발표) (0) | 2015.06.05 |
---|---|
보험사, 교통사고 피해자가 소송해야 위자료 더 준다?(자동차보험, 보험금, 약관) (0) | 2015.06.05 |
병원 홈페이지에 연예인 사진을 무단으로 사용한 경우 손해배상책임은?(퍼블리시티권, 초상권, 손해배상액, 불법행위) (0) | 2015.05.30 |
경쟁업체가 직원들을 부당한 방법으로 빼내어 갔다면(인력의 부당유인ㆍ채용행위, 부당 스카우트)? (0) | 2014.02.25 |
가압류 이후 채권자가 패소하였다면, 가압류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는 가능할까? (0) | 2013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