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
김동현 변호사입니다.
새로 분양된 미등기 아파트에 전세를 들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. 이 때에는 아직 부동산등기가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어서, 부동산등기부를 통한 권리제한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습니다.
따라서 그와 같은 미등기 새아파트에 전세를 들 세입자는 아래와 같이 해당 아파트와 관련하여 권리제한상태 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좀 더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
⃝ 임대인이 실제 아파트 계약자인지 여부 확인
⃝ 분양권에 가압류 등 권리제한관계가 있는지 여부 확인
⃝ 임대인의 분양계약서 사본 교부요청 및 그 보관
⃝ 등기 전 전입신고 가능
⃝ 전세보증금액은 아파트 시세의 70% 이하가 안전(※ 선행 저당권 등이 있다면 그 채권액까지 합산한 금액의 70% 이하)
한편 아파트가 경매로 넘어가게 되는 경우 시세보다 낮은 금액에 매각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, 전세보증금액은 아파트 시세의 70% 이하로하시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. 다만, 해당 아파트의 선순위 담보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담보채권액까지 포함한 금액이 아파트 시세의 70%이하가 되어야 한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그리고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을 갖추기 위해서는 전입신고를 반드시 하여야 하는데요. 미등기부동산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승인이나 준공검사를 마친 경우에는 전입신고가가능하므로, 이점 참고하시어 전입신고는 가능한한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'민사소송 실전 가이드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대차계약 위약금이 너무 많다? 감액 가능성과 약관법 쟁점 (0) | 2015.06.03 |
---|---|
적정한 전세보증금의 기준과 전세보증금을 보장해주는 보험에 관하여(전세금보증보험, 전세보증보험, 임대차보증금) (0) | 2015.06.02 |
전세권저당권자의 물상대위와 전세권설정자의 상계권의 관계는?(전세권근저당권, 물상대위, 전세금반환청구권, 전세권, 대출) (0) | 2015.05.21 |
상가임대차 대항력! 이제는 보증금 액수에 관계없이 인정된다.(2015. 5. 13.자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) (0) | 2015.05.19 |
임차인(세입자)가 임차건물에 관한 화재보험을 체결할 때 주의해야할 사항은?(피보험자, 임차자 배상책임보장 특별약관, 책임보험) (0) | 2015.05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