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
김동현 변호사입니다.
우리 지방세법은 법인의 주식 또는 지분을 취득함으로써 과점주주가 된 사람은 해당 법인의 부동산 등을 취득한 것으로 보아 취득세를 부과하는 한편(동법 제7조 제5항), 이미 과점주주가 된 주주 등이 해당 법인의 주식 등을 취득하여 주식 등의 비율이 증가한 경우에는 그 증가분을 취득으로 보아 취득세를 부과하고 있는데요(동 시행령 제11조 제2항). 이를 과점주주의 간주취득세라고 합니다.
그렇다면 해당 법인의 부동산을 신탁회사에 신탁한 이후, 그 법인의 과점주주가 된 자에게도 위 규정에 따라 해당 신탁부동산을 취득했다고 보아 취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 것일까요?
이에 대하여, 최근 우리 대법원은 이를 부정한 바 있습니다(대법원 2014. 9. 4. 선고 2014두36266 판결). 그 이유는, 법인의 과점주주에 대하여 그 법인의 재산을 취득한 것으로 보아 간주취득세를 부과하는 취지는 과점주주가 되면 해당 법인의 재산을 사실상 임의처분하거나 관리운용할 수 있는 지위에 서게 되어 실질적으로 그 재산을 직접 소유하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는 점에서 담세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인데(대법원 1994. 5. 24. 선고 92누11138 판결), 부동산 신탁의 경우에는 위탁자의 과점주주가 신탁부동산을 사실상 임의처분하거나 관리운용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인바, 이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'그 외 실전 가이드 > 행정소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제 책값을 비교해 보고 책을 살 필요가 없다? 도서정가제에 대하여 알아봅니다.(출판문화산업진흥법) (0) | 2015.07.02 |
---|---|
과태료부과에 대하여 불복하고 싶다면?(이의제기, 질서위반행위규제법) (0) | 2015.06.30 |
2015. 11. 19.부터 모(母)의 인적사항 몰라도 미혼부 혼자 출생신고 가능해진다.(가족관계등록 개정, 미혼부, 혼외자) (0) | 2015.05.19 |
경쟁업체의 상품과 그 가격, 성능, 품질, 판매량, 서비스내용 등을 비교하는 광고행위는 적법한 것일까?(표시광고법, 비교광고, 비교표시) (0) | 2015.05.12 |
상속포기자가 사망보험금을 수령한 경우, 피상속인의 미납세금 납세의무를 승계하게 될까?(상속세, 사망보험금, 상속포기 ) (0) | 2015.05.05 |